DT Trend
2. EU의 디지털제품여권(DPP) 추진동향과 우리의 대응




우리는 최근 심각한 기후온난화 현상을 겪으며 기존의 선형경제(Linear Economy)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 변해야 함을 실감하고 있다.

EU가 도입을 추진하는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는 바로 이러한 순환경제로의 변화를 가속화시켜줄 도구이다. DPP 도입이 명시된 에코디자인 개정안이 법제화 과정을 거쳐 발효되면 대부분의 모든 물리적 제품의 내구성, 재활용 가능성, 수리가능성, 재활용 원재료 비율, 탄소발자국 등의 지표에 대한 규제를 준수해야 하고, 그 준수 여부를 DPP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규제를 준수한 제품만이 EU내에서 유통될 수 있게 되므로 DPP를 통한 순환경제로의 전환은 속도를 내게 될 것이다.

 

에코디자인 규정안은 최근 유럽의회에서 채택('23.7.12)되어 향후 EU이사회와 집행위와 함께 3자 협의(Trilogue)를 개시할 계획이다. 에코디자인법이 발효되기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있지만 EU에서는 DPP의 우선 적용대상과 기술적 구현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現에코디자인 규정안에 따르면 DPP의 우선 적용 대상은 전자기기, 배터리 및 차량, 섬유, 플라스틱, 가구, 건설, 화학 등 7종으로 추후 적용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DPP의 데이터 접근방법은 QR코드, 바코드, NFC태깅 등 다양한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Gaia-X의 DATASPACE 원칙에 따라 국가간 데이터 생성, 교환, 활용이 가능한 여러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구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DPP는 데이터 관리를 위해 데이터 조작 방지, 데이터 증명, 추적, 검색뿐 아니라 빠른 데이터 처리 이점을 가진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DPP는 그 대상을 제품에만 둘 수도 있지만 다른 서비스업종에까지 확장성이 있다. 순환경제 구축이라는 목적하에 ‘투명성, 지속가능성’에 입각한 무한한 비즈니스 아이디어가 DPP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그래서 DPP는 전 산업군의 디지털화, 개방화되어가는 큰 흐름 속에서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EU가 추진해나가는 DPP 도입에 대해 정부와 기업의 관심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DT Trend_2 전문보기.pdf